특성화대학 사업소개
특성화대학 사업
소개
현재 해외 건설시장은 민자사업의 해외판이라고 할 수 있는 투자개발형사업 형태가 증가하는 추세로, 자본 조달과 사업개발 등의 관련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전문인력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해외 투자개발사업(PPP)을 수행하기 위한 관련된 법률 및 금융, 국제입찰 절차, 시장분석, 사업발굴 및 기획 등 일련의 모든 과정을 아우르는 종합적 역량을 갖춘 전문가가 부족해 사업을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끌어 가거나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변화하는 글로벌 건설시장에 적극 대응하고 국내 건설산업의 경쟁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외건설 투자개발사업(PPP) 전문인력 양성 사업’ 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투자개발사업(Public-Private Partnership) :
사업참여자들이 소요되는 비용의 일부 혹은 전부를 분담하고, 발생하는 손익을 지분에 의해 분배하여 투자자금을 회수 및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방식(사례 : 터키 차나칼레 대교사업)2020년도 해외건설 투자개발 전문인력 양성사업은 3년 이상 경력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나, 2023년 4월에 『고등교육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33725호], 제12조의2(소단위 전공과정)』 개정됨에 따라, 대학에서 소단위 전공과정으로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습니다.
그리고, 올해는 해외 투자개발사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특성화대학’ 2개교를 선정하여, 해외건설 투자개발사업 이론, 해외건설 투자개발사업 계약 및 절차, 해외 건설 투자개발사업 사례연구 등의 교육과정을 개설, 2024년도부터 3년간 사업비를 지원합니다.
우리 대학은 『2023년도 해외건설 투자개발사업 인력양성사업(특성화대)』에 선정되어, 2024년도 1학기부터 해외건설 투자개발사업(PPP) 소단위 전공(마이크로디그리)을 편성하고, 운영하게 됩니다.
투자개발사업(PPP)
사례
차나칼레 대교 사업
사업 개요
- 발주처
- 터키 도로청
- 사업비
- 31억 유로(약 37억불)
- 사업방식
- BOT + MRG
- 사업기간
- 총 양허기간 16.2년, 건설기간 최대 5.5년
- 사업내용
-
세계 최장 주경간 현수교, 접속도로 건설 및 운영
- 현수교 3.5㎞, 접속도로 88㎞ - 참여기업
-
대림산업+SK건설+Limak(터)+Yapi Merkezi(터)
* 참여 4개사 투자․시공․운영에 25%씩 참여

차나칼레 대교 현황
※ 세계 최장 주경간장 2,023m, 최고 높이 주탑 334m
차나칼레 대교 현황
- 각기 다른 강점을 지닌 4개의 참여사 구성 및 추진 : 한국의 기술력과 금융 + 터키의 시공역량과 지역 경험 기반 전문성 보완
- 사업수주 및 실시협약 체결('17.3) 이후 1년내 3조원의 Financing 달성 한국수출입은행과 한국무역보험공사를 주축으로 총10개국 25개 금융기관 참여
- 발주처로 부터 MRG(Minimum Revenue Guarantee)를 제공받아 수입 확정
- 건설기간 최대 5.5년, 총 양허기간 16.2년 매년 환율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Toll 요금 책정